로고

통합시 명칭ㆍ청사위치 ‘광주’에 맞춰야

광주시민사회에서 역사성ㆍ접근성ㆍ개발 잠재력 들어 당위론 제기

성남투데이 | 기사입력 2010/01/11 [06:49]

통합시 명칭ㆍ청사위치 ‘광주’에 맞춰야

광주시민사회에서 역사성ㆍ접근성ㆍ개발 잠재력 들어 당위론 제기

성남투데이 | 입력 : 2010/01/11 [06:49]
‘성남ㆍ광주ㆍ하남’ 행정구역통합이라는 큰 물줄기가 길을 잡아 가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민사회 일각에서 통합이후에 나올 통합시 명칭과 통합시 청사위치 문제와 관련 광주시가 중심에 서야 한다는 논의를 하고 있어 향후 추진 과정이 주목되고 있다.
 
▲ 3개 통합시권을 아우르며 오랜 역사성을 지키고 있는 너른고을의 광주시 전경.     © 시티뉴스

특히 시민사회가 광주에 무게를 두고 있는 이유는 통합대상 3개시의 역사성을 고려할 때 광주시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더라도 △940년(고려 태조 23년) 지금의 명칭인 광주(廣州)로 개칭된데 이어 △983년(고려 성종2년)에는 광주(廣州)목을 두었고 △1577년(명종 10년)에는 광주(廣州)부(府)로 승격, 경안.오포.도척.실촌.초월.퇴촌.초부.동부.서부.구천.중대.세촌 돌마.낙생.대왕.언주.왕륜.일용.월곡.북방.송동.성관,의곡면 등 현재의 3개시를 아우르는 총 23개 면을 광주부로 한 울타리였음을 들어 역사성을 지닌 광주가 통합시 명칭사용이 바람직하다는 것.
 
통합시의 청사 역시 △1626년(인조 4년) 남한산성 축성한데 이어 1907년(조선 고종 44년) 군(郡)이 되어 군청 소재지를 중부면 산성리에 두었으며 이후 △1917년 12월에는 군청을 중부면 산성리에서 광주군의 경안리로 이전, 군의 중심축을 이뤘다는 점을 꼽고 있다.
 
이들은 나아가 현재의 송정동 광주시청은 3개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통합시민들의 접근성 측면에서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있고 각종 지역개발이 완성단계에 있는 성남과 하남시에 비해 광주시는 미개발된 광활한 토지가 있어 통합시 이후 각종 개발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전망, 통합시 청사 역시 현재의 광주시청을 축으로 개청돼야 한다는 당위론을 제기하고 있다.
 
▲ 3개 통합시 탄생 이전부터 통합대상지역을 총괄하며 중심부에 있었던 광주시청사. 현재의 시청사 자리 역시 통합후 시민들의 접급성에 있어 중심에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시티뉴스

아울러 통합시 추진에 있어 광주시는 사전 검토 없이 정치적 이수로 제기한 성남ㆍ하남시에 비해 주민의견 절차를 거침으로써 통합시 선언에는 다소 지연된 인상을 주기는 했으나 주민들에 대한 사전 이해와 여론수렴절차를 거치는 등 가장 모범적인 수순을 밟았고 정부의 지방의회의견 수렴 절차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3개시 통합에 물고를 트는 선두 역을 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정부의 인센티브 측면에서도 광주의 역사성과 잠재가능성을 통합시 명칭과 청사 선정에 적극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당위론을 펴고 있는 한 관계자는 “성남시의회가 통합찬성의견을 채택하고 국회에서 관련법이 무사히 통과돼 6월 2일 지방선거를 통해 통합시장이 나올 경우를 대비해 지금부터라도 시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조직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며 “뜻을 같이하는 시민들을 규합 성남과 하남 시민사회와 연계해 통합시 탄생 이후를 대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 기사는 시티뉴스와의기사제휴 협약에 따른 게재입니다.

 
  • 통합시 명칭ㆍ청사위치 ‘광주’에 맞춰야
  •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