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은 통합할 것인가?:
로고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은 통합할 것인가?

【한덕승 칼럼】현 시점이 진보진영의 향후 10년 모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다

한덕승 | 기사입력 2011/09/23 [01:59]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은 통합할 것인가?

【한덕승 칼럼】현 시점이 진보진영의 향후 10년 모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다

한덕승 | 입력 : 2011/09/23 [01:59]
▲ 한덕승 기획편집위원.     © 성남투데이
민주노동당(이하 민노당)과 국민참여당(이하 참여당)의 통합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민노당은 오는 9월 25일 임시 당대회를 열어 참여당과의 통합을 핵심으로 하는 ‘향후 진보대통합 추진 방안’에 대한 안건을 대의원들의 투표로 결정하기로 했다. 참여당 또한 9월 25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 투표와 모바일 투표를 진행하고, 10월 1일에는 임시전국당원대회를 열어 현장투표로 민노당과의 합당문제를 결정하기로 했다.

지난 5월 31일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이하 연석회의)’가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최종 합의문을 발표한 이후, 우여곡절을 겪던 통합 진보정당의 모습이 처음으로 가시화되는 상황이다. 과연 양당의 통합은 가능할지, 두 당의 통합이 진보진영 대통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지 아니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지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5·31합의문은 통합 진보정당 논의의 기준점이다.

5·31합의문을 이끌어낸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에는 민노당, 진보신당, 민주노총, 전농, 전국빈민연합, 전국여성연대, 진보교연, 한국청년연대 등 진보진영의 단체가 대부분 참여했다. 애초 논의 과정에 참여했던 사회당만이 최종 합의문에 동의하지 않았다. 5·31최종합의문에는 ‘새로운 진보정당’의 성격 및 운영 방안, 2012년 총선 및 대선의 기본 방침, 대북 문제, 진보정당 건설 일정, 합의문에 동의하는 제 세력에 대한 문호개방 등 6대 합의 사항과 20대 주요 정책과제가 담겨 있다.

5·31합의문을 민노당은 6월 19일 대의원 대회에서 최종 승인 했고, 참여당은 7월 10일 중앙위원회에서 동의했으나 진보신당은 6월 26일 대의원 대회에서 승인을 유보했다. ‘연석회의’는 이후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추진위원회(이하 새통추)’를 구성하기로 하고 통합논의를 진행하였으나 민노당과 진보신당의 이견으로 통합논의는 진전하지 못하게 된다. 참여당의 참여 문제가 통합의 걸림돌로 작용한 것이다. 결국 민주노총이 중재를 하게 되면서, “참여당 참여문제는 민노당과 진보신당의 합의를 거쳐 새통추에서 결정한다”는 중재안을 제안하나 민노당은 수용한 반면에, 진보신당은 수용을 거부하면서 진보진영 통합문제는 난항을 겪게 된다.

이 와중에 지난 9월 6일 진보신당 임시당대회가 열렸다. 진보진영과 진보진영의 통합을 열망하는 시민들의 시선이 집중된 가운데 열린 회의에서 5.31합의문을 추인하는 원안과 ‘참여당은 통합대상이 아니라 연대의 대상이다’는 수정안이 모두 부결되었다. 진보신당내의 통합파와 독자파의 대립 속에 독자파의 입장이 관철된 것이다. 그 후 진보신당은 통합을 추진했던 조승수 대표가 사퇴하고 독자파를 중심으로 새로운 지도부가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으나 당의 진로와 관련하여 갈피를 잡지 못하는 상황이다.
 
▲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진보대통합을 앞두고 난항이 지속되면서 통합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성남투데이

민노당과 참여당은 통합할 것인가?

민노당은 5·31합의문을 일치감치 승인하고 진보신당과 참여당과의 통합에 대해서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민노당 입장에서는 통합 논의에서 진보신당의 입장을 대부분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양당은 참여당과의 통합 문제와 과거 활동 과정에서의 상호불신이 통합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극복하지 못 하였다.

민노당 내에는 진보신당과의 통합이 무산된 현 시점에서 참여당과의 우선 통합에 반대하는 입장도 만만치 않다. 현역 국회의원 중에서는 권영길, 강기갑의원이, 지역적으로는 인천, 충남 등지의 당원들이, 당내 의견 그룹 중에는 소위 ‘다함께’ 그룹이 반대하고 있다. 이들의 반대 이유는 첫째, 참여당은 진보정당이 아니다. 둘째, 참여당과의 선 통합은 진보신당내 통합파의 향후 행보를 어렵게 한다. 셋째, 참여당과의 우선 통합은 민주노총 내부의 혼란과 갈등을 격화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민노당 내에서는 참여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는 세력이 다수를 형성하고 있다. 25일 임시 당대회에 참여 자격이 있는 대의원 약 800명 중에서 500명가량의 대의원이 당대회 소집에 연서명한 상태라 참여당과의 통합에 필요한 재석 대의원 3분의 2를 확보하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 일반적인 전망이다.

참여당은 당원들에게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유시민 대표가 통합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통합분위기가 대세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을 했던 이병완 광주시 기초의원이 “민노당과의 통합은 노무현 정신에 위배된다.”며 반대하는 등 이에 동조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은 게 현실이다. 하지만 민노당이 통합을 결정하면 큰 무리 없이 통합을 추인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체적이다.

▲ 민주노동당 성남시위원회가 지난 21일 성남시청 산성누리관에서 당원 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보대통합 경과보고 및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 성남투데이

양 당의 통합은 진보진영 대통합의 출발이 될 것인가?

현 시점에서 민노당과 참여당, 양당은 통합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양당의 통합은 진보진영 대통합에 매우 어려운 상황을 조성할 수 있다. 지난 22일 ‘노심조(노회찬, 심상정, 조승수)’와 진보교연, 민주노총의 주요 인사 353명이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철회와 올바른 진보대통합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25일 민노당이 통합 결정을 내리면 민노당과 결별“할 것임을 강조했다. 김세균, 조돈문 등 진보정당 활동을 해 왔던 다수의 교수들과 이수호 전 민노총 위원장, 임성규 민노총 전 위원장, 이강택 언론노조 위원장, 나순자 보건의료 위원장 등 노동계 인사들이 다수 참여했다.

이들은 참여당과의 통합은 “진보를 자유주의 세력에게 갖다 바치는 꼴”이라고 반발하면서 “두 당이 합쳐지면 민주노총이 분열하여 새로운 조직이 구성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참여정부에 참여했던 국민참여당에 대한 불신과 함께 진보진영의 우경화를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우려처럼 양당 통합이 진보진영 대통합의 걸림돌이 될 지, 아니면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한 뚜렷한 현실적인 대안이 부재한 상태에서, 소위 진보적 ‘자유주의’세력과 진보세력의 창조적 결합과 그에 기초한 진보대통합이 가능할지는 앞으로 지켜볼 일이다.

‘안철수 현상’에서 나타났듯이 기성 제도 정치권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팽배한 상태에서 과연 진보진영이 국민의 의구심을 덜어내고 믿음을 주는 정치세력으로 환골탈태할지는 미지수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현 시점이 진보진영의 향후 10년의 모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라는 것이다. 진보진영의 분발이 요구되는 때이다.

한편 민노당 성남시위원회는 지난 21일 성남시청 산성누리관에서 당원 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진보대통합 경과보고 및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고, 같은 날 옆방인 모란관에서는 참여당 성남지역위 운영위원회가 열려 통합문제와 10·26 성남시 기초의원 보궐선거에 대한 대책을 수립했다. 양당이 통합될 경우, 통합의 시너지 효과가 보궐선거에서 어떤 결과를 낳을지도 귀추가 주목된다.

 
  • 4·11총선, 투표참여가 세상의 변화를 결정한다!
  • 복잡할 것 없다, 살아있는 권력을 심판하자!
  • 국회의원 후보들! 문제는 ‘스펙’이 아니라 ‘진정성’
  • 민선5기 성남시 ‘주민참여예산제’ 도입 의지는 있는가?
  • 성남의 달동네 ‘은행동 아이들’
  • 멀기만 한 공연, 그리고 초대권
  •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은 통합할 것인가?
  • ‘안철수 열풍’과 성남의 변화
  • ‘크레인 위에서 태어난 사람!’ 당신이 우리입니다
  • 성남의 민주주의는 어디로 가는가?
  • 촛불이 진화하고 있다
  • 6·10에 민주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 유능한 이재명 시장, 문제가 뭐지?
  •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