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촛불이 꺼질 수 없는 이유:
로고

촛불이 꺼질 수 없는 이유

〔벼리의 돋보기〕촛불인류의 탄생과 소통의 정치

벼리 | 기사입력 2008/07/08 [05:44]

촛불이 꺼질 수 없는 이유

〔벼리의 돋보기〕촛불인류의 탄생과 소통의 정치

벼리 | 입력 : 2008/07/08 [05:44]
대한민국 헌법 제1조에 ‘주권’이 있다. 그 주권이 거리로, 삶의 한복판으로 뛰쳐나왔다. 주권이라니? 근대국가의 형성 이래 주권은 두 가지 경우에만 그 실체를 드러낸다. 지금 우리의 경험에 비춰 말한다면 두 가지 경우란 ‘대외관계’와 ‘국민의 정부와의 관계’다. 그 실체란 대외관계의 경우 정부가 자주적이지 못할 때 반대로 국민이 자주적일 때, 국민의 정부와의 관계의 경우 정부가 국민의 말을 듣지 않을 때 반대로 국민이 정부에 대해 헌법에 규정된 저항권을 행사할 때다. 주권이 이보다 더 잘 드러난 경우는 일찍이 보지 못했다.

▲ 대한민국 헌법 제1조에 ‘주권’이 있다. 그 주권이 거리로, 삶의 한복판으로 뛰쳐나왔다.   ©성남투데이

이 점에서 국민을 섬긴다는 말과는 다르게 독재식 정책 결정들을 통해 국민을 지배하려 드는 이명박 정부에 맞서 ‘1+5의제’(추가협상에 맞선 재협상 요구, 방송 장악 분쇄, 대운하 저지, 교육 자율화 반대, 민영화 저지)를 내걸고 전개되는 국민적 저항은 평소 잘 드러나지 않는 주권의 실체를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그리고 그 드러난 실체가 우리에게 가르쳐 준 것은 주권자들을 ‘환상’으로부터 깨어나게 했다는 점이다. 환상? 정부와 국가의 혼동, 정부의 의사가 국민의 의사를 대신한다는 착각 아니겠는가. 촛불을 든 시민들은 당당하게 말한다. “국민에게 항복하라!”

그렇다. 주권의 실체가 드러난 지금 국민과의 소통을 가로막는 대의정치에 대해 근본적인 반성과 함께 전혀 다른 정치, 소통의 정치를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점에서 대의정치를 문제 삼고 새로운 소통의 정치를 모색하는 입장에서는 이명박 정부야말로 여전히 봉창 두들기는 정부로 읽혀진다. 이명박 정부는 “쿠데타정부도 아닌데 시민들이 청와대로 가자고 하는 것은 심하다”고 말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선거냐 쿠데타냐에 있지 않다. 의회는? 무기력 그 자체다. 그들을 찍은 손가락을 자르고 싶다는 목소리가 크다.

소통의 정치를 모색하는 관점에서는 현실의 정부도, 정당도, 의회도, 보수와 진보의 대립으로만 자기 모습을 드러내는 정치도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픽션으로서의 언론 또한 마찬가지다. 이런 제도와 제도의 운동은 매개적이기 때문이다. 이 매개적 운동은 국민투표와 같은 국민의 의사를 묻는 직접 민주주의도 얼마든지 삼켜버리고 말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새로운 관점은 앞으로 있을 수 있는 정치적 타협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물론 구분은 부정과 같은 말이 아니다. 논리와 힘은 종종 어긋나곤 하기 때문이다.

첫 단추를 잘 꿰어야 한다. 시작이 반이므로. 그렇다고 소통의 정치가 무엇이냐고 물을 수는 없다. 무엇과 무엇 아닌 것의 경계란 늘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무엇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 그런 것은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길은 보이지 않는다. 평탄대로인 길은 길이 아니다. 길은 언제나 구부러져 있다. 그래서 그 무엇에 대해서 곧 미래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우리가 일상화된 선거를 통해 체험하듯 말뻥으로 종결되는 사기꾼들의 유치한 놀음일 뿐이다. 비전이란 것은 없다. 비전? 유토피아란 ‘어디에도 없는 곳’ 아닌가.

할 수 있는 것만을 해야 한다. 이런 입장에서 소통의 정치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한에서만 실마리를 열어야 한다. 놀랍게도 그 실마리를 여는 열쇠가 눈에 띈다. 촛불저항에서 탄생한 아니 촛불저항을 이끌어낸 새로운 인류 바로 ‘촛불인류’다. 이들은 그 어떤 제약에도 구애받지 않는 요구들을 제출한다는 점에서다. 또 이들은 당당하게 말한다. “우리는 이명박을 뽑지 않았다!” 이들은 투표를 통해 정부를 선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찬성이든 반대든 또는 어떤 의미의 기권이든 대의정치에 책임이 있는 어른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인류다.

이 점에서 이들은 ‘세대’는 물론 ‘민의’를 넘어선다. 이들은 대의정치, 수시로 변화하는 민의의 바깥에 있다. 이들은 환상에 사로잡힌, 오염된 어른들의 바깥이다. 이들은 따라서 어떤 통제도 불가능하다. 그런 이들의 무기, 이들의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바로 ‘소통’이다. 이들만큼 소통을 체득한 인류는 없다. 이들이 인터넷과 촛불저항에서 보여준 것보다 더 위대한 소통의 힘을 보여준 사례는 없다. 이들의 출현이야말로 생애 가장 기쁜 일! 따라서 소통의 정치에 대한 질문과 모색에서 첫걸음은 촛불인류를 이해하는 일, 이해하기 위해서 어른들이 노력하는 일이다.

이 실마리에서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첫단추이기 때문이다. 가르친다는 것은 실은 배운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어른들은 강자가 아니라 약자다. 촛불인류야말로 어른들이 어찌할 수 없는 절대 강자임을 알아야 한다. 소통에서 부딪치는 난관을 톡톡히 치르게 될 것이므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촛불인류로부터 배우면서 가능한 소통의 정치를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항상 이들을 의식하는 것, 이것이 새로운 소통의 정치를 모색하는 어른들의 의무다. 여기에서만 소통의 정치로 가는, 할 수 있는 일이 발견될 수 있을 것이다. 아마 현재로선 소통의 정치 그 자체일 것이다.

물론 어른들의 의무는 촛불인류가 세상의 주역으로 나설 때까지만이다. 어른들은 스스로 밀려날 줄 알아야 한다. 아니 몰라도 좋다. 밀려나고 말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미 광활한 촛불의 바다에서 ‘어둠이 빛을 이길 수 없다’고 당당하게 선언되었다. 촛불은 어둠을 태운다. 이 점에서 촛불, 그것은 ‘도약’이다. 도약의 주역은 촛불인류에게 있다. 촛불인류가 도약할 수 있도록 그 길을 열어주자. 이것이 지금 이들과의 소통을 해야 하는 어른들의 의무이자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소통의 정치일 것이다.

지금 세계사적 실험의 한복판에 대한민국이 자리 잡았다. 지금 일렁이는 촛불의 바다는 인류사적 실험이기 때문이다. 촛불, 그것은 형식이 아니라 흐름이다. 그것은 환상과는 전혀 다른 상상이다. 촛불이 꺼질 수 없는 이유다.

 
  • ‘남’이란
  • 잘 늙는다는 것
  • 의회독재를 경계한다
  • 플라톤 왈, ‘나보다 못하는 거시기들’
  • 성남의 한계를 씹는다
  • 여기가 섬이다. 자, 뛰어보라!
  • 진정성이 있냐고 물으면
  • 시립병원투쟁 제안?
  • 구더기 무섭다고 장 못 담글까
  • 2008년 7월 8일 국치일(國恥日)
  • 촛불이 꺼질 수 없는 이유
  • 박권종의 반란 또는 삑사리의 비밀
  • 조중동만이 조중동?
  • ‘모두의 정치’를 향한 위대한 시작
  • “무당 찾아 굿도 하라고 그래!”
  • 총선, 한나라당에 역풍분다
  • 이명박정부 심판론, 총선 쟁점화
  • 대운하 찬성하십니까?
  • 386, 386정치인을 아십니까?
  • 1% 부자 내각이라니!
  •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